야화 29화
야화 29화
"우리가 중지에서 며칠이나 있었지요"
"이틀 하고 반나절이라오... 소득이 있었는지 모르겠구려 사매..."
"예상 했던 대로 재화가 묻혀 있었어요... 재화에 욕심 낼 사형은 아니지만, 자금이 모자라면 언제든지 말씀 하세요... 우선 여기 황금 5만 냥 짜리 대명통행보초(大明通行寶抄)가 있으니, 이것 가지면 1~2년은 문제 없이 버틸 수 있지 않겠어요"
"사양하지 않겠소... 그 보다는, 사제와 아옥 두 사람의 일은 어찌 매듭지을 생각이시오"
"아옥이, 사제의 꿈꾸는 듯한 눈 속으로 빨려 들어 갔다는데, 거기에서 꺼낼 수 있나요 호호 호호..."
"사고 나빠 나빠 나 빳... 남의 말의 엿듣기나 하고..."
"언제 이 사고가 네 말을 엿 들었다는 말이냐... 중지 안 지하까지 짹짹거리는 소리가 들려 온 것이지"
"세상에... 여기서 거기가 어디라고... 천리지청술(千里地聽術)로 다 들었단 말이에요?"
"지청술을 펼쳤다면 그거야말로 엿들은 것 아니겠니?... 천이통(天耳通)은 듣고 싶지 않아도 들린단다"
"사매가 불가육통(佛家六通)을 깨우쳤다는 말이오?"
"호호 호호... 사제 뭘 하고 있어... 가지고 나온 예물을 신부에게 전해 주지 않고"
나는 품 안에서 옥함을 꺼내 뚜껑을 열었다. 칠색 찬란한 나비가 금방이라도 날아 오를 것만 같았다.
"어머나 예뻐라..."
모두가 그 정교함에 감탄을 하고 있는데, 실제로 나비가 팔랑팔랑 날아 올랐다. 날아오른 나비가 아옥의 가슴에 사뿐하게 내려 앉았다.
"어머나 예뻐라..."
"계집애야... 호신강기나 금강지체도 종잇장처럼 찢고 들어가는 무시무시한 암기란 말이다... 네가 만약 거기에다 독이라도 바른다면, 천하무적은 아니지만 패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오라버니 고맙습니다..."
"홋 홋 홋... 이 사고에게는 고맙다는 말도 하지 않느냐?... 일 갑자 반이 넘는 공력이 아니면 무용지물이라는 것도 알아야지?
"호호 호호... 오라버니가 생사현관을 뚫어 주면, 일 갑자 반 정도는 될 텐데 뭘 그래요..."
"흥! 요 계집애야!... 생사 현관을 뚫기 전에 어디가 뚫리는지 나 알고 하는 소리냐?..."
"나빠 나빠... 사고 나 빳..."
"홋 홋 홋... 이 계집애야 뭘 하고 있어!... 얼른 옷을 갈아 입고 사제하고 나갈 생각을 하지 않고..."
"?..." "?..." "?...."
"홋 홋 홋... 시집도 가지 않은 년이, 부모 앞에서 뚫릴 생각이냐?... 사제가 사천에 다녀 와야 하는데, 사제를 따라 나설 준비를 하란 말이다... 생사현관은 사제를 따라 나서면, 산에서만 살던 사람이니 동굴을 찾아 내서 그 안에서 생사현관을 뚫어 줄 것이다. 그뿐만이 아니라 옥 나비를 암기로 사용하는 수법도 가르쳐 줄 것이며 여기 옥함 안에 들어 있는 영단을 먹게 되면 공력도 증진 된단 말이다"
"고맙습니다 사고님..."
아옥이 따라 나설 준비를 하려고 나가자, 우리 두 사람이 필요 할 것 같은 산행에 필요한 물건들을 일일이 곡주에게 공주가 주문을 하였다.
"사매! 그 밖에도 육포나 건량이 필요하지 않겠소?"
"딸을 굶겨 죽일까 봐 그래요? 그럼 한 끼 분 정도만 준비를 해 주세요... 우리가 먹는 것 보다도 더 맛있는 것을 배불리 먹일 사람이에요... 산에서만 살아서 야수보다도 더한 사람이라는 것을 아셔야지요"
아옥이 청색 장삼을 입고 들어 왔는데, 허리에는 허리띠 대신에 편(鞭)을 2중 3중으로 질끈 묶었고 왼쪽 가슴에는 옥 나비를 매달고 있었다. 상큼한 풋 과일을 보는 것 같이 신선하고 아름다웠다. 한 입 깨물면 신 맛이 주르륵 쏟아질 것만 같아 보였다.
"호호 호호... 아주 신이 났구나... 요 깜찍한 계집애야, 산속을 달려야 할 것이란 것을 알아야지"
"산속이면 어때서... 신부라면 이 정도는 차려 입어야 하는 것 아냐? 사고가 샘이 나나 보다"
"호호... 여자는 나이를 먹을수록, 젊고 예쁜 계집애를 보면 샘 나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니냐?... 더 늦기 전에 빨리 떠나야지... 사제는 너무 서두르지 말고, 2월 초순 안으로만 돌아 오도록 해요"
"다녀 오겠습니다 사저... 사형!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입니다"
"아직도 사형이냐?"
"낄 낄 낄....아직은 뚫기 전이란 말입니다. 낄 낄 낄... "
"이 보게 이 보게~... 아무리 급해도 짐은 챙겨 들고 가야지... 껄 껄 껄..."
"낄 낄 낄..."
독곡을 벗어난 나는 우선 아옥에게 마땅한 동굴이 어디 없겠느냐고 물어 보았다. 환한 얼굴이 되더니 있다고 하였다.
"오라버니, 있어요 있어! 좀 떨어져 있기는 하지만 기막히게 좋은 자리가 있어요... 찾아가는 길이 좀 험난해서 문제지만"
"험난한 지형이고 사람이 근접하기 어려운 장소라면 더욱 좋소"
"몇 번 밖에 가 보지 않아서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사람 손이 닿은 것만은 틀림 없어요"
"뭘 보고 그렇게 말 하는 것이오"
"갈라진 바위 틈을 비집고 겨우 들어갈 수 있는데, 몸집이 큰 사람은 들어가기가 쉽지 않아요... 오라버니도 비집고 들어 갈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일단 안으로 들어가기만 하면 넓다란 초지가 나오고, 한쪽은 단애인데, 맞은편 절벽에서는 폭포수가 쏟아져 내리고, 소택(沼澤)에 고인 그 물은 다시 단애 아래로 흘러 내리고 있어요"
"듣기만 해도 절경이란 것은 알겠는데, 인적이 있다는 것은..."
"쏟아져 내리는 폭포수와 조금 떨어진 곳에는 열천(熱泉)이 있는데, 너무 뜨거워서 손도 넣을 수 없어요. 그런데 열천수와 소택의 찬물을 작은 웅덩이에 끌어 들여서 목욕을 하기 좋게 만들어져 있거든요..."
"흐 흠... 그리고?..."
"폭포수와 열천 중간쯤 되는 절벽에 동굴이 뻥 뚫려 있는데, 그 높이가 8~9장쯤 되어서 감히 들어가 볼 생각을 못했지만, 오라버님이라면 문제 없을 것 아니겠어요?... 만약 동굴 안에 들어 갈 수 없다고 해도, 넓은 초지와 소택에 물이 고여 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하지 않겠어요?!"
"방해만 받지 않는다면 그 이상 좋은 곳은 찾아 볼 수 없을 것 같소... 얼마나 더 가야만 하오"
"오시(午時) 전에는 도착할 수 있을 것이에요"
진령산맥(秦嶺山脈)의 동단(東端)에 접하고, 웅이산(熊耳山) 끝 자락에 있는 가파른 암산(岩山)을 8부 능선쯤 기어 올라가자 바위와 바위가 쩍 갈라진 바위틈이 나 있었는데, 축골공(縮骨功)을 모르는 남자라면 통과하기가 힘들 정도였다.
여인인 아옥도 낑낑거리며 겨우 빠져 나가는데, 나는 힘 하나 들이지 않고 통과를 할 수 있었다. 천면신공은 얼굴만 자유자재로 바꾸는 것이 아니라, 몸집도 상대와 똑 같이 바꿔야만 하니, 축골공은 기본이었던 것이다. 가볍게 바위틈을 빠져 나온 나를 보더니 괴물을 보는듯한 눈빛이 되었다.
기막힌 절경이 눈 앞에 펼쳐져 있었다. 열천에서 피어 오른 물 안개가 곡 안을 덮고 있었으며, 쏟아져 내리는 폭포수는 한 폭의 그림을 보는 듯 하였고, 삼면을 둘러싸고 있는 수림은 풍요를 노래하고 있었다. 다만 마주 바라다 보이는 뻥 뚫린 동굴만이, 외 눈깔을 보는 것 같아 기분이 섬뜩할 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