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년생 개띠 아줌마 1부
58년생 개띠 아줌마 1부
제 이름은 조영신 올해 57살. 1958년생 개띠 아줌마입니다. 결혼 31년차의 평범한 가정의 주부로 두 딸은 이미 결혼을 시켜 손주도 셋이나 본할머니예요.
남편은 뭐하냐구요? 남편은 얼마전 대학교 교수직에서 정년퇴직하고 여유로운 삶을 즐기고 있답니다. 아내는 안중에 없어서 시골 전원주택에서 보내는 시간이 대부분입니다. 한달에 집에 오는 날은 일주일도 채 되지 않고 여행 다니는 것을 좋아합니다.
저희는 일반 중산층보다는 잘사는 수준인거 같아요. 남편은 대학교수로 퇴직했지 두 딸은 재력있는 집안의 며느리로 들어갔으니 먹고사는 것을 넘어 경제적으로는 풍족한 생활을 해왔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행복하지 못했습니다. 적어도 그 이를 만나기 이전까지는요. 딸애들 교육에 신경쓰느라 저의 개인적인 삶은 포기를 했었고 딸애들을 다 대학에 보내고 나니 어느덧 제 나이는 40대 후반이었습니다. 결혼하고 노는 것이라고는 전혀 모르는 보수적인 삶을 살았기 때문에 어영부영하다보니 50대가 되었고 하나씩 하나씩 찾아오는 갱년기 증상의 연속이었습니다.
사실 저도 엘리트였습니다. 서울의 명문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했고 33년전에 뉴욕으로 유학을 갔었으니까요. 뉴욕에서 유학중이던 남폄을 만나 결혼을 하면서 커리어우먼의 꿈은 접어야 했지만요. 결혼과 함께 제 꿈은 모두 반납하고 오로지 가족을 위한 삶만 살아와야 했습니다.
제 인생에 후회가 밀려오고 공허한 마음이 생긴건 둘째까지 시집보낸 53세때 였습니다. 결혼식이 끝나고 집에 돌아와서 80평 큰 집에 혼자 남겨진 제 자신이 유난히 그날따라 쓸쓸해보였습니다.
‘가진 것도 많고 풍족하게 살았는데 왜 이렇게 허전하고 허무한거야’
그날 이후로 그런 좋지 않은 감정은 저를 계속해서 괴롭혔습니다. 하나씩 갱년기 증상들도 찾아오기까지 했습니다.
우연한 기회에 대학 동창이자 미국 유학생활을 같이 했던 친구를 만날 수 있었습니다. SNS로 30여년만에 근황을 알게 된 친구였어요. 프로필 사진만 봐도 저와 다르게 세련되 보이더라구요. 연예인 아줌마 처럼 세련되고 매력있어 보였습니다. 하긴 그 친구도 무용을 전공하고 유학가서 미국에 정착한 친구니 그 끼를 숨기기 어려웠을지도 모릅니다.
쪽지로 연락이 오고가면서 한번 만나자는 약속을 잡았습니다. 마침 조만간 한국에 나올 계획이 있다고 하더라구요. 한달이 채 되지 않아서 그 친구를 만났습니다. 이름은 미숙이었는데 영어 이름은 자넷이라고 꽤 세련된 이름을 쓰더라구요. 저도 또래에 비해서는 관리를 잘 받은 편이라 젊게보인다고 자부하는데 미숙이는 50대의 나이가 무색하게 잘 꾸민만큼 몸매도 탱탱했습니다. 운동 꽤나한듯한 탄탄한 엉덩이와 실리콘 좀 넣은것 처럼 보이는 가슴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식사를 하면서 술잔을 기울이며 이런저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제가 남편과 결혼하면서 대학교수의 부인으로 잘 자리잡고 산 것에 대한 소식을 들으면서 젊은 시절에는 저를 부러워 했다고 하더라구요. 미숙이라는 그 친구는 야망이 있었던 친구라 그때 당시에도 결혼에 대한 생각이 없었습니다.
미숙이는 자신의 철학이 뚜렸했고 지금도 자신의 선택에 후회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럼 계속 싱글로 살아왔냐? 그것도 아니었습니다. 한국 정서로는 잘 이해할 수 없지만 법적인 부부는 아니지만 부부처럼 지내는 관계를 계속해서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영신아 결혼이란게 좋아보여도 그게 결국 족쇄인거야. 결혼없이도 얼마나 행복하게 남자 만나고 살수 있다고 남자란게 많이 만나보고 결정해야하는 거고 그 결정도 나중에 지나고 나면 후회하는 경우가 생긴다니까?”
미숙이는 그렇게 결혼 회의론에 대해 한참을 이야기 했습니다. 그땐 몰랐지만 50대가 지난 지금 그 의견에 공감이 가기 시작했습니다. 안정된 가정도 중요하지만 여자에게는 개인의 기쁨이 더 중요하다고요.
그럼 미숙이는 지금 어떻게 지내고 있는가 궁금했습니다. 흔히 한국에서는 상상할 수도 없는 라이프 스타일이었습니다. 미숙이는 뉴욕에서 무용단 활동을 30대 초반까지 하고 이후에는 시간강사로 활동을 하면서 인맥을 쌓아왔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40대에 접어들때는 현지인과 합작으로 사설 아카데미를 설립했는데 현지인 인맥이 많은 탓에 연예인들을 배출하는 등용문이 될 정도로 아카데미가 경제적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고 합니다.
오로지 남편과 딸들만 바라보고 살았던 제 삶과는 극과 극의 삶이었죠. 그래도 한때 같이 유학하고 꿈을 꾼 친구였는데 말이죠.
미숙이가 들려준 남자 스토리는 더 믿기 어려웠습니다. 제가 결혼한 무렵에 미숙이도 같은 학교의 백인과 눈이 맞았습니다. 하지만 오래가지는 못했다고 하더라구요. 그 후로 미숙이는 1년이 머다하고 남자를 바꿔탔다고 합니다. 황인,흑인,백인,멕시칸 가릴것 없이 다양하게 만나봤지만 하나같이 장점이 있으면 단점이 있었다고 합니다.
황인은 라이프 스타일은 비슷해서 코드는 맞았지만 백인,흑인을 맛본 다음에야 섹스자리가 시원치 않아 결혼상대로는 여기지 않았다고 합니다. 백인,흑인,멕시칸들은 잠자리 궁합만으로 인생을 걸기에는 삶의 패턴이 너무나도 달랐기 때문에 성격적인 부분에서 부딪히는게 많았다고 하네요.
오히려 그렇게 한 사람을 선택하지 않고 동거생활을 이어간게 나중에는 득이 됐다고 합니다. 30대가 지나고 40대가 되었을때 동년배 남자보다도 자연스럽게 연하남이 끌리게 되었다고 하니까요.
요즘 제가 듣기로 우리나라도 아줌마들이 연하남을 즐겨 찾는다고 들었습니다.